< "'시리어스' 않고 '어프로치'가 '마일드'해요" >[기자]"'시리어스' 않고 '어프로치'가 '마일드'해요"'접근 방식이 진지하지 않고 가볍다' 이 정도로 해석할 수 있는데요.오늘(9일) 새벽 한·미 정상 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한덕수 대행의 영어를 "뷰티풀"하다고 얘기했습니다.한 대행 자신도 "반응이 좋았다"고 자화자찬하기도 했는데, 한 대행은 하버드대 석·박사에다 주미대사까지 지냈기 때문에 자타공인 유창한 영어 실력의 소유자입니다.다만 자신감이 너무 넘쳐서 그런지 영어에 얽힌 여러 가지 논란이 있었습니다.대표적으로 이태원 참사 직후 외신 기자회견 때입니다.[앵커]기억이 납니다. 당시 윤석열 정부 입장은 '정부 책임은 없다' 이런 거였잖아요.[기자]그렇습니다. 그때 한 외신 기자가 "젊은이들이 그곳에 간 게 잘못인가. 누구의 잘못도 아니라고 하는 사고에서 한국 정부 책임의 시작과 끝은 어디라고 보는가" 질문했습니다.이에 한 대행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은 정부의 책임이다" 이런 원론적인 대답을 하는 도중에 통역기가 고장이 났습니다. 그러자 이렇게 농담하는데, 직접 들어보시죠.[한덕수/국무총리 (2022년 11월 1일) : {(통역 관련) 기술적 문제에 대해 사과드립니다.} 이렇게 (통역이) 잘 안 들리는 것에 책임져야 할 사람의 첫 번째와 마지막 책임은 뭔가요?]보신 것처럼 황당하다는 반응이 나오죠.통역사도 어찌 할 줄 몰라 하는데, 비극적 참사에 대한 정부 책임론을 묻는 진지한 질문에 마치 통역기가 고장 난 그 책임의 끝과 시작은 누구냐. 마찬가지 아니냐는 식으로 가볍게 농담을 했다고 해서 상당한 비난을 사기도 했습니다.[앵커]어떻게 이런 상황에서 그런 농담할 수 있느냐, 이런 비판이 많았죠.[기자]그래서 말씀하신 것처럼 그런 비판 때문에 바로 다음 날 '참사 외신 간담회 농담 논란'에 대해 "국민 마음을 불편하게 해드렸다"고 사과했습니다.일각에서는 당시 외신 기자들을 상대로 영어로 얘기를 많이 하고 그러다 보니 외국식 영어를 쓰다가 선을 넘은 게 아니냐는 지적도 있었는데 국내 기자를 상대로 하면서도 정책 방향을 설명하며 상당히 영어를 많이 써서 또 구설에 오른 적이 있습니다.취임한 바로 그해인데요. 직접 들어보시죠.[한덕수/국무총리 (2022년 11월 15일)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커넥티드' 이런 거하고 연계돼서는 '인클루시브'하게 방향을 굉장히 '터닝'을 하고 있어서 '시리어스'한 < "'시리어스' 않고 '어프로치'가 '마일드'해요" >[기자]"'시리어스' 않고 '어프로치'가 '마일드'해요"'접근 방식이 진지하지 않고 가볍다' 이 정도로 해석할 수 있는데요.오늘(9일) 새벽 한·미 정상 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한덕수 대행의 영어를 "뷰티풀"하다고 얘기했습니다.한 대행 자신도 "반응이 좋았다"고 자화자찬하기도 했는데, 한 대행은 하버드대 석·박사에다 주미대사까지 지냈기 때문에 자타공인 유창한 영어 실력의 소유자입니다.다만 자신감이 너무 넘쳐서 그런지 영어에 얽힌 여러 가지 논란이 있었습니다.대표적으로 이태원 참사 직후 외신 기자회견 때입니다.[앵커]기억이 납니다. 당시 윤석열 정부 입장은 '정부 책임은 없다' 이런 거였잖아요.[기자]그렇습니다. 그때 한 외신 기자가 "젊은이들이 그곳에 간 게 잘못인가. 누구의 잘못도 아니라고 하는 사고에서 한국 정부 책임의 시작과 끝은 어디라고 보는가" 질문했습니다.이에 한 대행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은 정부의 책임이다" 이런 원론적인 대답을 하는 도중에 통역기가 고장이 났습니다. 그러자 이렇게 농담하는데, 직접 들어보시죠.[한덕수/국무총리 (2022년 11월 1일) : {(통역 관련) 기술적 문제에 대해 사과드립니다.} 이렇게 (통역이) 잘 안 들리는 것에 책임져야 할 사람의 첫 번째와 마지막 책임은 뭔가요?]보신 것처럼 황당하다는 반응이 나오죠.통역사도 어찌 할 줄 몰라 하는데, 비극적 참사에 대한 정부 책임론을 묻는 진지한 질문에 마치 통역기가 고장 난 그 책임의 끝과 시작은 누구냐. 마찬가지 아니냐는 식으로 가볍게 농담을 했다고 해서 상당한 비난을 사기도 했습니다.[앵커]어떻게 이런 상황에서 그런 농담할 수 있느냐, 이런 비판이 많았죠.[기자]그래서 말씀하신 것처럼 그런 비판 때문에 바로 다음 날 '참사 외신 간담회 농담 논란'에 대해 "국민 마음을 불편하게 해드렸다"고 사과했습니다.일각에서는 당시 외신 기자들을 상대로 영어로 얘기를 많이 하고 그러다 보니 외국식 영어를 쓰다가 선을 넘은 게 아니냐는 지적도 있었는데 국내 기자를 상대로 하면서도 정책 방향을 설명하며 상당히 영어를 많이 써서 또 구설에 오른 적이 있습니다.취임한 바로 그해인데요. 직접 들어보시죠.[한덕수/국무총리 (2022년 11월 15일)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커넥티드' 이런 거하고 연계돼서는 '인클루시브'하게 방향을 굉장히 '터닝'을 하고 있어서 '시리어스'한 논의도 별로 못했어요. 지금까지의 '어프로치'가 저는 좀 '마일드'한 것 같아요.][앵커]그런데 국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