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서울 중구 숭례문 일대에서 열린 '의료정상화를 위한 전국의사궐기대회'에서 참석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뉴스1 이달 중 수업 거부 학생의 유급 시한이 도래하는 의과대학들이 정부의 내년도 정원 증원 동결 결정을 앞세워 학생들의 복귀를 설득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뚜렷한 복귀 움직임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20일 교육계에 따르면 여러 의대들은 지난 17일 교육부가 의대 증원의 철회를 발표한 이후 설명회 개최, 1대1 면담 등으로 학생의 수업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의료계 관계자는 “주말 사이 정부의 발표에 대한 문의가 매우 크게 늘었다”며 “지난달 말 제적 시한 직전 학생들이 등록으로 결정을 선회한 것처럼, 이번에도 유급 시한이 다가오는 이달 말쯤 복귀율이 반등할 걸로 본다”고 말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이달 16일 기준 전국 40개 의대생들의 수업 참여율은 25.9%다. 다음 주 대면 실습 수업을 시작하는 비수도권의 A 의대 학장은 “우리 학교에는 이번 학기까지 유급을 받으면 제적될 학생들이 몇 있어서 주말 동안 일일이 전화를 해 참여를 설득했는데, '돌아가고 싶다'고 했다”고 전했다. A 의대는 전공과목 대면수업과 실습에 3분의 1 이상 결석하면 해당 과목 시험에 아예 응시하지 못한다. 한 과목이라도 F 학점을 받으면 유급, 유급이 3번이면 제적 처리된다. 한 달 째 수업을 거부 중인 비수도권 소재 B의대 학생들은 이날 복귀 여부에 대해 논의한다. 이 학교는 학칙 상 1개월 무단 결석한 학생을 제적 처리한다. 한 학생은 “증원 철회로 명분이 없어진 데다 유급, 제적 시한에 대한 경고도 무시 못 할 일”며 “수업 거부에 피로감을 느끼는 친구도 꽤 있다”고 했다. 이미 어느 정도 복귀가 진행됐다고 판단한 곳도 있다. 지난주 수업을 거부한 본과 4학년 학생들에게 유급 예정을 통보한 수도권 C 의대 학장은 “대부분 학생이 돌아와서 유급 대상이 많지 않았다”고 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전국의 본과 4학년의 복귀율은 35.7%지만, 7개 학년 전체 복귀율이 67%를 기록하는 학교도 있는 등 [서울=뉴시스] 국회사진기자단 = 홍준표 제21대 대통령 선거 국민의힘 경선 후보가 20일 서울 강서구 ASSA아트홀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선거 국민의힘 1차 경선 B조 토론회'에서 안경을 고쳐쓰고 있다. 2025.04.20.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이재우 우지은 기자 = 홍준표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는 20일 한동훈 후보에게 키높이 구두 관련 질문을 했다.홍 후보는 이날 서울 강서구 ASSA아트홀에서 열린 1차 경선 조별 토론회에서 한 후보를 향해 "정치 대선배로서 어떤 말씀을 묻더라도 고깝게 듣지 말고 편하게 답하라"며 "오늘 오기 전에 (청년 소통 플랫폼) '청년의 꿈'에서 가거든 꼭 질문해보라고 해서 몇가지 질문하겠다. 키도 크신데 무엇 하러 키높이 구두를 신느냐"고 물었다.한 후보는 "(질문한 사람이) 청년이 아니신 것 같다. 그런 질문 하시는 것 보면"이라고 넘겼다. 홍 후보는 "그 다음 '생머리'냐, 보정속옷을 입었느냐는 질문은 유치해서 안하겠다"고 말했다. 한 후보는 "유치하다"고 했다.홍 후보는 토론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한 후보에게 키높이 구두 같은 수위 높은 질문을 했다'는 질문에 "청년의꿈 사이트에서 물어보라고 해서 물어봤다. 사실인지 아닌지"라며 "옆에 보니까 맞기는 맞았다"고 답했다. 그는 '무엇이 맞느냐'는 질문에 "재미 있으라고 하는 거다. 오늘 그거 아니면 재밌는게 뭐 있나"라고 했다. [서울=뉴시스] 국회사진기자단 = 한동훈 제21대 대통령 선거 국민의힘 경선 후보가 20일 서울 강서구 ASSA아트홀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선거 국민의힘 1차 경선 B조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4.20. photo@newsis.com 한 후보 측은 홍 후보의 발언에 반발했다.김근식 캠프 정무조정실장은 같은날 페이스북에 "우리 국민의힘 경선이 퀄러티가 너무 떨어진다. 창피하고 화가 난다"며 "지지율 선두권에 있는 후보가, 그것도 당대표 지내고 대선후보까지 한 분이 B급 질문으로 자기시간 쓰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