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상주시 사벌국면의 한 과수
경북 상주시 사벌국면의 한 과수원에서 배꽃에 수술을 묻히는 인공수정 작업을 하고 있다. 천권필 기자 " 난자가 없는데 정자를 아무리 찍어본들 어쩌겠어요. " 15일 경북 상주시 사벌국면의 한 과수원. 이미숙(54)씨는 하얗게 핀 배꽃에 꽃가루를 묻히면서 이렇게 말했다. 배꽃을 자세히 보니 가운데 암술 부분이 마치 불에 탄 듯 새까맣게 변해 있었다. 갑작스러운 봄 추위에 꽃이 마치 동상에 걸린 것처럼 피해를 본 것이다. 이 씨는 “30년 넘게 배 농사를 지었는데 배꽃이 이렇게 많이 얼어 죽은 건 올해가 처음”이라고 했다. 경북 상주시 사벌국면에 하얀 배꽃이 활짝 폈다. 천권필 기자 사벌국면은 전국에서 면 단위로는 배 생산량이 가장 많은 곳이다. ‘상주 배’의 절반이 이곳에서 난다. 이 마을에 재앙이 찾아온 건 지난달 말이었다. 30일 아침 기온이 -5.2도까지 기온이 내려가면서 꽃봉오리 속 암술머리가 추위를 견디지 못하고 검게 녹아 버렸다. 이런 꽃은 열매를 맺을 수 없다. 경북 상주시 사벌국면의 한 과수원에 핀 배꽃. 이상저온으로 인해 가운데 암술이 검게 변하는 고사 현상이 나타났다. 천권필 기자 사벌국면은 전체 농가의 피해율이 90% 이상인 것으로 추산했다. 여기에 지난 13일부터 다시 기온이 급락해 서리가 맺히고, 눈발까지 날리면서 뒤늦게 핀 배꽃도 열매를 맺기 어려운 상황이다. 설사 열매를 맺더라도 기형과가 될 가능성이 크다. 박종욱 사벌국면장은 “보통 1년에 500억 원 규모의 배를 생산해 판매하는 데 올해는 10분의 1인 50억 원도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 “순식간에 여름서 겨울로 바뀌니 속수무책” 갑작스러운 저온 현상으로 배주(밑씨)가 검게 변했다. 오른쪽은 피해를 입지 않은 배꽃의 배주 모습. 천권필 기자 올봄에 유독 피해가 컸던 건 극단적인 기상 변화 때문이다. 3월 중순에 30도에 육박할 정도로 이상고온 현상이 이어지면서 배꽃이 평 제롬 파월 미국 연준(Fed) 의장이 16일(현지시간) 미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열린 시카고경제클럽에서 연설하고 있다. 이 자리에서 파월 의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추진한 관세 정책이 물가 상승(인플레이션 압력)을 유발하고, 동시에 경제성장 둔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AFP]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16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예상보다 높은 관세로 물가 인상과 성장 둔화가 예상된다면서 연준이 물가와 성장 중 어디에 더 초점을 맞출지 선택해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파월 의장은 이날 일리노이주의 시카고 이코노믹클럽에서 한 연설에서 “관세는 최소한 일시적으로 인플레이션의 증가를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면서 이같이 밝혔다.파월 의장은 “지금까지 (행정부가) 발표한 관세 인상 수준이 예상보다 훨씬 높다”면서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마찬가지일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인플레이션 상승과 성장 둔화를 포함할 것”이라고 예상했다.그는 “우리는 양대 목표(최대 고용·물가 안정)가 (서로) 긴장 상태에 놓이는 도전적인 시나리오에 직면할 수 있다”며 “만약 그런 일이 일어나면 우리는 경제가 각 목표로부터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 각 (목표와 현실 간) 간극이 좁혀질 것으로 예상되는 시기에 차이가 있을 가능성을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연준은 최대 고용을 유지하면서 인플레이션을 2%로 낮추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경제 성장을 촉진해 고용을 늘릴 필요가 있을 때 기준금리를 인하하고, 물가를 잡는게 우선일 때는 기준금리를 올린다. 일반적으로 경제가 둔화하면 물가도 낮아지고 실업률이 올라가기 때문에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양대 목표를 둘 다 달성할 수 있지만, 관세는 물가와 실업률을 둘 다 높일 가능성이 크다는 게 파월 의장의 인식이다.파월 의장은 “우리의 도구(기준금리 변경)는 같은 시점에 두 개(물가 안정과 최대 고용) 중 하나만 할 수 있다”면서 “관세가 아마 올해 내내 우리를 목표 달성에서 더 멀어지게 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다만 그는 기준금리 인하 등 통화정책 조정을 당장은 고려하지 않고 경제 상황을 더 관망하겠다는
경북 상주시 사벌국면의 한 과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