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동남아시아에 속한 국가다." 한국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조회3회 작성일 25-04-15 19:11본문
"한국은 동남아시아에 속한 국가다." 한국에 대한 중대한 서술 오류가 다수 국가의 교과서에서 발견됐지만 재외공관들이 시정 조치를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고 감사원이 15일 지적했다.감사원이 이날 공개한 재외공관 운영 실태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영국, 라오스, 헝가리 등을 담당하는 11개 재외공관은 한국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객관적 사실과 다른 중대한 오류가 주재국 교과서에 서술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방치하고 있었다. 이 같은 오류는 교육부 산하 한국학중앙연구원이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총 81개국 교과서를 조사해 찾아낸 것이다. 외교부는 조사 결과를 공유받고 다시 74개 관할 재외공관에 전달해 시정 조치를 지시한 바 있다.영국 일부 교과서에는 "한국은 동남아에 속한 국가" "한국은 마약(암페타민) 제조국" 같은 내용이 포함돼 있었다. 현존 세계 최고(最古) 목판본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설명하면서 일본 다라니경 사진을 싣거나, 4세기경 일본군이 한국 남부에 식민지를 건설했다는 '임나일본부설'을 사실처럼 언급한 교과서도 있었다.감사원은 "주영국 대사관은 이러한 오류와 관련해 해당 국가 교육부, 출판사 측과 접촉해 오류 시정을 요구하는 등 활동을 하지 않았고, 영국 교과서에는 해당 내용이 포함된 상태가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라오스 교과서에선 "남한 인구의 63%는 농민이며 이들은 시골에 거주" "1446년 한국은 중국 문자와 유사한 새로운 문자를 발명하여 지금까지 사용" "러시아 제국은 1864~1875년 한국을 점령해 시장을 확대" 등 왜곡이 발견됐다.헝가리 교과서는 청나라 아편전쟁, 칭기즈칸 시대 몽골 제국, 한(漢)나라 시대 한반도를 모두 중국의 지배 영역으로 표시했다. 심지어 1750~1850년에 걸쳐 한반도가 스페인의 식민 지배를 받았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주라오스·주헝가리 대사관은 오류 시정 활동을 하지 않았다. 주니제르·주볼리비아 대사관도 마찬가지였다.아르헨티나 일부 교과서에선 한국을 개발도상국으로 분류했으며, 한국의 영아 사망률이 40.1~60%에 이른다고 서술했다. "한국은 주로 다른 국가로 이민을 가는 나라"라고 소개한 대목도 있었다. 스페인 교과서는 한국 인[김남권 기자]▲ 지난 10일 강릉시 관 내 일부 아파트 엘리베이터 내부 게시판 곳곳에 ’경포호 분수 설치에 따른 강릉시 이·통장연합회 찬성 서명부‘라는 제목의 서명부가 일제히 부착됐다. 그러나 취지와는 달리 인공분수 설치를 반대하는 주민들이 줄줄이 서명하면서 취지와는 달리 반대서명부가 됐다.ⓒ 김남권 강원 강릉시가 명승지로 지정된 경포호에 대규모 인공분수 설치를 추진하는 것에 대해 찬반 논란이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관내의 한 단체가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인공분수 찬성' 서명을 받기 위한 홍보에 나섰다가 '편파 논란'으로 철거하는 일이 벌어져 뒷말을 낳고 있다. <오마이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 10일 강릉시 관내 일부 아파트 엘리베이터 내부 게시판 곳곳에 '경포호 분수 설치에 따른 강릉시 이·통장연합회 찬성 서명부'라는 제목의 서명부가 일제히 부착됐다. 서명부에는 '이름' '주소' '서명' '비고'를 적을 수 있는 칸이 만들어져 있고, 바로 옆에는 정부 마크가 새겨진 공용 봉투에 펜까지 마련돼 주민들이 쉽게 서명할 수 있도록 해놨다.이를 본 일부 주민들 사이에서는 불만이 터져 나왔다. 지방자치단체에서 국가 세금으로 추진하는 사업에 대해 찬성하는 주민들만 골라서 서명을 받겠다는 자체가 시민들을 편 가르는 불공정 행위라는 지적이다.찬성서명부인데 '반대 서명부' 돼... "조직적으로 찬성 서명 받으려 해"▲ 명승지로 지정된 강원 강릉 경포호 전경ⓒ 김남권 이같은 여론을 반영하듯 설치된 찬성서명부에는 '반대'라는 문구를 적은 주민들의 서명이 줄줄이 달렸다. 당초 취지와 달리 '반대서명부'가 돼 버렸고, 다음날 서명부는 모두 철수됐다. 해당 아파트 관계자는 '서명부 철거 이유'에 대해 "주민들이 의견 수렴을 하려고 한다면 찬반을 표시 할 수 있는 것으로 해야지 찬성하는 주민들만 서명을 하게 하는 것이 말이 되느냐고 항의를 해서 철거했다"라고 해명했다.한 주민은 "이·통장들이 이렇게 조직적으로 찬성 서명을 받으려고 나선 배경엔 강릉시가 있다. 누구나 알 수 있는 사실"이라면서 "(찬성 여론을 일으키려는) 방법이 너무 졸렬하다"라고 힐난했다.앞서 강릉시는 지난해 5월 관광객 유입을 목적으로 명승지 경포호에 250억 원을 들여 길이 400m, 최고 높이 150m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