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21일 원자력에너지
2024년 3월 21일 원자력에너지 정상회의(Nuclear Energy Summit 2024)가 처음으로 벨기에 브뤼셀 엑스포에서 개최되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벨기에가 공동으로 이 행사를 개최했다. 당시 필자는 대한민국 수석대표로 참석하여 정부의 원자력 정책과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대한민국의 구상에 대해 연설을 했다. 유럽연합의 여러 나라를 포함하여 38개국이 참석하여 원자력의 역할을 강조하는 메시지를 전달했고, 화석 발전에서 청정에너지로의 전환을 위해 원자력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국가 간 협력 제고를 강조했다. 특히 2023년 12월 개최된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원자력을 청정에너지 전환의 필수 요소로 인정하고, 2050년까지 원자력발전 용량을 3배 확대하겠다는 선언의 연장선에서 원자력 확대 이행 의지를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는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다. 과거 유럽 국가들은 대체로 반원자력 정책을 펼쳤으나 이제는 소형 모듈형 원전(SMR)을 포함한 원자력발전소의 건설을 검토하는 국가들이 늘어나고 있다. 유럽은 풍력 발전이 활성화된 지역이지만 원자력발전을 늘리겠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이종호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독일은 2000년부터 2023년까지 원자력발전 비중을 줄이다가 원전 제로 상태를 만들었다. 이는 제조업 강국 독일의 경쟁력 저하를 가져왔고 인공지능(AI) 등 첨단 기술 발전에도 걸림돌로 작용하기 시작했다. 결국 제조업 경쟁력이 크게 떨어지면서 2025년 들어 탈원전을 재검토하고 화력발전소 50기를 건설하겠다고 한다. 미국은 원전 이용률을 높이고 있고 원전 건설의 재개를 추진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도 신규 원전 건설을 언급한 바 있다. AI 패권국가로서 미국은 전기에너지 확보에 비상한 관심을 갖고 있다.전기 먹는 하마로 불리는 AI가 산업, 공공, 일상 및 첨단기술에 확산되기 시작함에 따라 전기에너지 확보가 국운에 큰 영향을 주게 됐다. 필자는 종종 음식을 통해 세상을 봅니다. 안녕하세요. 맛있는 이야기 ‘미담(味談)’입니다. 인간이 불을 집어든 날, 첫 셰프가 탄생했습니다. 100만년이 넘는 시간 동안 그들은 음식에 문화를 담았습니다. 미식을 좇는 가장 오래된 예술가, 셰프들의 이야기입니다. 해녀와 물질한 조셉 리저우드 셰프(왼쪽). 인스타그램 [헤럴드경제=채상우 기자] 일렁이는 청록빛 제주 바다는 어쩌면 해녀들의 눈물은 아닐까. “앞으로 내 밥 여기다 줘요.” 넷플릭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에서 관식은 아내 애순과 어린딸 금명이 있는 밥상에 돌아 앉으며 선포하듯 말한다. 그리고 콩밥 위에 콩을 골라 크게 한 숟갈 금명에게 넘겨준다. 남자 밥상, 여자 밥상이 따로 있던 시절이었다. 남자 밥상에는 조기 구이에 제철 나물들로 거한 한상이 차려졌다. 국에도 건더기가 그득했다. 여자 밥상에는 생선 대가리, 건더기가 보이지 않는 국, 장아찌가 전부였다. 콩알 하나 찾기 힘든 콩밥마저 까맣게 늘러붙은 아랫밥만 긁어 먹어야 했다. 관식의 행동은 그런 낡은 부조리에 대한 저항이었다.드라마의 배경이 되는 1950~1970년대는 그래도 되는 시대였다. 당시 해녀의 밥상에는 지독히도 배고프고 고달팠던 제주 여성들의 삶이 담겨있다. 가족을 위해 목숨을 걸고 바다에 들어가면서, 남자들이 먹다 남은 잔반으로 배를 채워야 했던 그들이었다. 바다 도처에 널린 구정기나, 해삼·멍게 하나라도 먹으려면, 괜시리 들킬까 노심초사 떨어야 했던, 믿기 힘든 그런 삶을 드라마를 통해 엿본 지금의 우리는 밀려오는 경멸스러움을 떨칠 수 없었다.우리조차 몰랐던 해녀의 밥상에 먼저 다가선 파란 눈의 셰프가 있다. 컨템퍼러리 한식 레스토랑 에빗의 조셉 리저우드 셰프의 고향은 오세아니아의 작은 섬 태즈메이니아다. 그곳은 제주를 꼭 닮은 곳이다. 바다는 그에게 모든 것을 주는 존재였다. 어릴적부터 바다에서 물고기를 잡으며, 자연이 주는 풍요로움에 감동했다. 때로는 바다는 모든 것을 앗아갈 듯한 공포스러운 존재였다. 태풍이 몰아치던 날 파도의 부서짐을 보며 바다의 무서움과 경의로움을 동시에 느꼈다.“저는 태즈메이니아 섬에서 태어나 바다와 삶을 함께 했습니다. 저는 바다를 사랑합니다. 바다가 주는 자유, 바다의 소리,
2024년 3월 21일 원자력에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