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 전 세계에 혼란을 불러온 가운데 미국도 예외는 아닙니다. 벌써 조금씩 물가상승 조짐이 보이면서 시민들의 소비심리도 가라앉고 있는데요. 전문가들은 미국 경제를 위축시키는 부메랑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안미향 리포터의 보도입니다. [기자] 텍사스 휴스턴에서 27년째 거주 중인 앨리스 강 씨, 요즘 들어 채소와 고기 등 식료품 물가가 부쩍 오른 걸 체감하고 있습니다. [앨리스 강 / 미국 텍사스 동포 : (얼마나 올랐어요?) 제 생각에는 20% 정도 (오르지) 않았나 싶어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이후 미국 내에서도 인플레이션에 대한 불안감 커지고 있습니다. [닉 커럴 / 미국 텍사스 : 확실히 가격이 더 올랐습니다. 특히 정육 부문에서 가격이 훨씬 많이 오른 걸 느꼈습니다. 물론 이게 현실이지요. 창고형 대형업체도 그렇고, 어디든 다 오른 것 같습니다.] [헤이수스 솔티스 / 미국 텍사스 : 정부에서는 인플레이션이 완화되고 있다고 말하지만, 현실은 전혀 달라요. 물가는 여전히 오르고 있고, 특히 달걀이나 기본 식료품 가격은 확실히 느껴질 정도로 비싸졌어요. 그나마 기름값은 괜찮은 편이라 다행이긴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생활비가 크게 늘었어요.] 특히 수입품목을 주로 취급하는 도매업체의 경우 타격이 더 큽니다. 요식업 종사자가 많이 방문하는 한 도매 마트도 최근 3년 새 30%~40% 정도 판매가가 오르는 추세입니다. [조제수 / 도매 마트 매니저 : 아마도 음식 관련된 사업이 많이 타격을 받을 거예요. 저희 같은 경우는 이제 대체로 레스토랑 운영자가 많이 오시는데 아보카도가 예를 들어서 저희가 평균 가격이 한 지금 한 8달러 정도 하고 있거든요. 그게 한 5개 정도 들어가 있는데 저희 생각에는 지금 한 5월에서 한 6월 정도 되면 그게 한 10달러에서 한 12달러 정도까지 올라가지 않을까….]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미국 산업을 보호하는 것보다 오히려 수요를 위축시키는 역효과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수입품 B-2는 항공 우주 공학의 한계를 넘은 최첨단 기술 융합의 상징이다. 지난 1997년 미 공군이 도입 당시 대당 가격은 24억 달러가 넘는 역대 가장 비싼 항공기다. 당시 환율로 약 3조6100억 원에 달해 같은 무게의 금보다 더 비쌌던 '골드바'로 불렸던 폭격기다. 한국이 F-35 스텔스 전투기 도입 초기 1대당 가격인 1060억 원과 단순 비교하면 34대를 구매할 수 있는 금액에 해당한다. 미공군 홈페이지 캡처 최근 이란과의 핵협상을 앞둔 미국이 인도양의 영국령 디에고 가르시아섬 공군기지에 B-2 '스피릿'(Spirit) 스텔스 폭격기를 배치하면서 주목받고 있다. 미국이 보유한 19대의 B-2 가운데 3분의 1가량인 6대를 이란까지 약 4000㎞ 떨어진 곳에 전진 배치한 것이다. 13일 방위사업청 등에 따르면 노스롭 그루먼이 제작한 B-2 폭격기는 재급유 없이 최대 1만1000km 이상을 비행할 수 있다. 1회 공중급유 만으로 1만9000km 이상을 비행할 수 있다. B-2는 도입된 지 28년이 되었지만, 여전히 세계 최강의 성능을 유지하고 있다. 그 비결은 B-2의 유지보수 프로그램도 기술 발전과 함께 계속 진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2022년 8월 전투 능력 현대화 프로그램을 도입해 동시에 80개의 독립적인 표적에 유도 무기를 발사할 수 있도록 개량됐다. 이 능력은 이전 16개의 동시 표적 타격 능력에 비해 5배 증가한 것이다. 최근엔 PDM(Product Data Management=제품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의 개선으로 정비 효율성이 향상되었음을 입증했다. B-2의 시스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주기도 2년에서 3개월 이내로 단축됐다. F-22 랩터의 평균 비행시간당 유지비는 6500만 원 수준으로 그 중 스텔스 도색·코팅을 유지 보수하는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고 알려져 있다. B-2는 스텔스 기능을 유지하는 내구성 높은 표면 코팅·유지·보수 기술을 적용했다. 거친 비행 환경에서 손상되는 레이더 흡수테이프를 대체하기 위해 혁신적인 자성 레이더 흡수 코팅 소재와 시스템을 도입했다. 장기적인 스텔스 특성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는 새로운 시스템은 미국이 운용하는 B-2의 연간 유지보수 요구를 수만 시간까지 감소시켰다. 결과적으로 비용절감 및 임무 준비성과 결합되어 작전 효율성이 크게 향상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