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 4공장 전경삼성바이오로직스가 21일 창립 14주년을 맞았다. 업계 후발주자임에도 주요 바이오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으로 도약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생산능력·포트폴리오·글로벌 거점을 각각 확장하며 세계 일류 바이오기업으로 성장을 이어간다.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2011년 4월 21일 설립됐다. 삼성그룹이 '5대 신수종 사업' 중 하나로 꼽은 바이오 사업을 본격 추진하기 위해서다.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CDMO 시장에 다소 늦게 진입했음에도,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신속한 생산능력 확보와 높은 품질 경쟁력을 앞세워 업계 선도기업으로 빠르게 올라섰다. 설립 초기 110여명에 불과했던 임직원 수는 현재 약 5000명에 달한다.삼성바이오로직스의 현재 총 생산능력은 78만4000리터다. 세계 1위 수준이라고 회사는 강조했다. 글로벌 규제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제조 승인 건수는 350건을 돌파했고, 실사 통과율은 업계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생산능력과 품질 경쟁력은 글로벌 제약사 수주로 이어졌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창립 이후 지난해 말까지 위탁생산(CMO) 제품 총 99건, 위탁개발(CDO) 제품 총 133건의 수주를 기록했다. 누적 수주액은 163억달러(약 23조1400억원)다.지난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약 1조원 규모 대형 계약 세 건을 체결하며 창사 최초로 연간 수주액 5조원을 달성했다. 올해 1월에는 역대 최대 규모인 2조747억원 규모 계약을 수주했다. 현재 글로벌 상위 20개 빅파마 중 17곳을 고객사로 확보했다.매출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회사는 창립 9년 만인 2020년 연매출 1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2022년에는 국내 바이오·제약 업계 최초로 연매출 3조원, 지난해는 매출 4조원을 넘어섰다. 올해도 전년 대비 20% 이상 성장, 매출 5조원 돌파를 자신했다.삼성바이오로직스는 앞으로도 생산능력, 포트폴리오, 글로벌 거점 등 3대 축을 중심으로 성장을 모색한다. 최근 5공장 완공으로 제2바이오캠퍼스 시대를 연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32년까지 5공장과 동일한 규모의 공장 3개를 추가로 건설한다. 8공장 완공 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총 생산능력은 132만4000리터에 이르게 된다.포트폴리오 다각화도 나선다. 회사는 지난달 차세대 항암제로 떠오르는 항체약물접합체(ADC) 의약품 전용 생산시설을 가동했다. 향후 세포·유전자치료제(CGT) 등 삼성바이오로직스 4공장 전경삼성바이오로직스가 21일 창립 14주년을 맞았다. 업계 후발주자임에도 주요 바이오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으로 도약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생산능력·포트폴리오·글로벌 거점을 각각 확장하며 세계 일류 바이오기업으로 성장을 이어간다.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2011년 4월 21일 설립됐다. 삼성그룹이 '5대 신수종 사업' 중 하나로 꼽은 바이오 사업을 본격 추진하기 위해서다.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CDMO 시장에 다소 늦게 진입했음에도,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신속한 생산능력 확보와 높은 품질 경쟁력을 앞세워 업계 선도기업으로 빠르게 올라섰다. 설립 초기 110여명에 불과했던 임직원 수는 현재 약 5000명에 달한다.삼성바이오로직스의 현재 총 생산능력은 78만4000리터다. 세계 1위 수준이라고 회사는 강조했다. 글로벌 규제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제조 승인 건수는 350건을 돌파했고, 실사 통과율은 업계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생산능력과 품질 경쟁력은 글로벌 제약사 수주로 이어졌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창립 이후 지난해 말까지 위탁생산(CMO) 제품 총 99건, 위탁개발(CDO) 제품 총 133건의 수주를 기록했다. 누적 수주액은 163억달러(약 23조1400억원)다.지난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약 1조원 규모 대형 계약 세 건을 체결하며 창사 최초로 연간 수주액 5조원을 달성했다. 올해 1월에는 역대 최대 규모인 2조747억원 규모 계약을 수주했다. 현재 글로벌 상위 20개 빅파마 중 17곳을 고객사로 확보했다.매출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회사는 창립 9년 만인 2020년 연매출 1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2022년에는 국내 바이오·제약 업계 최초로 연매출 3조원, 지난해는 매출 4조원을 넘어섰다. 올해도 전년 대비 20% 이상 성장, 매출 5조원 돌파를 자신했다.삼성바이오로직스는 앞으로도 생산능력, 포트폴리오, 글로벌 거점 등 3대 축을 중심으로 성장을 모색한다. 최근 5공장 완공으로 제2바이오캠퍼스 시대를 연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32년까지 5공장과 동일한 규모의 공장 3개를 추가로 건설한다. 8공장 완공 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총 생산능력은 132만4000리터에 이르게 된다.포트폴리오 다각화도 나선다. 회사는 지난달 차세대 항암제로 떠오르는 항체약물접합체(ADC) 의약품 전용 생산시설을 가동했다. 향후 세포·유전자치료제(CG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