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키이우의 부활절 [EPA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조회23회 작성일 25-04-21 12:17본문
우크라 키이우의 부활절 [EPA=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이도연 기자 = 전 세계 기독교인의 최대 축일 중 하나인 부활절인 지난 20일(현지시간). 올해는 특히 서방 기독교와 동방 정교회의 부활절이 주기상 같은 날로 겹치게 되면서 각각 전쟁의 포화에 휩싸인 예루살렘부터 우크라이나까지 곳곳에서 평화를 기원하는 목소리가 나오게 됐다. NBC방송과 AFP통신에 따르면 이날 우크라이나의 수도 키이우에서는 부활절을 기념하기 위해 가족들이 모였다. 거리에는 전통 의상을 입은 주민들이 오가고 갓 구운 부활절 빵 냄새가 가득 찼다.그러나 이런 풍경 이면에는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에 항상 감도는 조용한 긴장감이 있었다.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 19일 오후 6시부터 21일 새벽 0시까지 30시간 휴전을 선언한 상태였지만, 이를 진심이라고 보는 주민들은 거의 없었다.우크라이나 주민들은 푸틴 대통령의 이 같은 평화 제안은 무의미하다고 지적했다.키이우의 성 알렉산더 대성당 앞에 서 있던 회계사 타티아나 이에메츠(36)는 휴전에 대해 "나는 믿지 않는다"라며 "말은 많이 할 수 있지만, 행동으로 보여줘야 한다"라고 꼬집었다.미사를 마치고 나온 올렉산드르 츠호르니(24)는 부활절 휴전이 "그들이 평화롭다는 것을 전 세계에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며 "그러나 그들의 의도는 그대로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이날 푸틴 대통령의 휴전 선언 이후에도 우크라이나 상공에 러시아의 공격용 드론이 포착됐고, 이에 따라 키이우를 포함한 각 지역에서 공습경보가 울렸다.밤새 공습 경보와 포격 소리가 계속 울리는 상황에서 휴전 선언은 주민들에게 아무런 위안이 되지 못했다.키이우뿐 아니라 전선에서도 우크라이나인들은 부활절을 기념했다. 이날에도 우크라이나군과 러시아군 사이 전투는 계속됐다고 우크라이나 군인들은 전했다. 20일(현지시간) 우크라 도네츠크주의 군대에서 미사 집전하는 군종 사제 [EPA=연합뉴스] 군종 사제인 볼로디미르는 이날 우크라이나 도네츠크 지역의 전선 근처에 ⓒ News1 민경석 기자 (세종=뉴스1) 나혜윤 기자 =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21일 '2025년 지자체 탄소중립 활성화 공개토론회(포럼)'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지난해 17개 광역지자체에 이어 올해 4월 전국의 모든 기초지자체(226개)에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을 최초로 수립하는 것을 계기로, 중앙-지방 정부 간의 협력을 강화하고 지역의 탄소중립 이행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행사에서는 환경부, 유역(지방)환경청,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지자체 간의 '지자체 탄소중립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아울러 △시군구 기본계획 주요 사례 발표 △환경부의 탄소중립 정책 방향 공유 △지역 탄소중립 강화를 위한 기관별 역할 및 협력 방안 논의를 위한 토론회 등을 진행한다.특히 시군구 기본계획 수립 사례 발표를 통해 △공공·민간의 건축물에 신재생에너지를 확대해 탄소중립 그린도시를 지향하는 대구광역시 달서구 △기후테크와 역사문화, 시민과의 조화를 도모하는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햇빛과 초록의 도시를 조성하는 서울특별시 노원구의 지역 탄소중립 전략을 공유한다.환경부는 지자체 기본계획 이행력 제고를 위해 지역별 탄소중립 전문기관인 '탄소중립 지원센터' 지정·운영 확대 및 지자체에서 추진하는 온실가스 감축 사업에 대한 재정 지원사업 추진계획 등 지자체의 탄소중립 추진 기반 강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소개할 예정이다. 토론에서는 △전의찬 세종대학교 교수(기후에너지융합과) △염정섭 환경부 기후전략과장 △홍종성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공정전환과장 △최형욱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정보관리팀장 △김형석 한국환경공단 처장 △문현석 서울특별시 탄소중립지원센터 센터장 △박연희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소장 등 기후변화 대응 전문가들이 기관별 지자체 탄소중립 활성화를 위한 역할과 기능 강화 방안을 모색한다.안세창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은 "올해는 전국의 기초지자체까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수립한 뜻깊은 해"라며 "지자체가 각 지역의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