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이효정 기자] 서울 강남권에서도 한강
[아이뉴스24 이효정 기자] 서울 강남권에서도 한강변에 인접, 입지가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는 신반포2차아파트의 재건축 조합 대의원 선거 과정이 조합원 갈등으로 얼룩지며 '부정선거' 논란마저 불거지고 있다.사회관계망서비스(SNS) '카카오톡'의 공식 오픈 채팅방에서 일부 조합원이 대의원 후보 검증을 한다며 인사들을 구분해 명단을 만들어 공유하는가 하면, 이에 반발하는 또다른 조합원은 서울시청과 서초구청에 민원을 제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할 지자체인 서초구청은 조합에 선거 규정을 지키라고 공문을 발송하는 등 진화에 나섰다. 신반포2차 아파트 전경 2024.10.14 [사진=이효정 기자 ] 21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 서초구청은 지난 3일 신반포2차아파트재건축조합에 '민원사항 의견 제출 및 선거관리 관련 협조 요청'이란 공문을 발송했다. 최근 진행 중인 대의원 선거와 관련해 잇따라 민원이 제기됐기 때문이다.구청은 "조합에서 조합 정관과 선거관리규정 등 관련 규정을 준수해 조합원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선거 절차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요구했다. 부정선거 논란이 커질 것을 우려한 대목으로 풀이된다.올해 초부터 총 조합원 1594명에 달하는 재건축조합은 대의원 129명을 새로 선출하기 위한 선거 절차에 돌입했다. 지난달 7일 후보자 확정 공고를 거쳐 8일부터 5월 10일까지 선거운동기간을 거쳐 11일 조합원 총회를 열어 투표에 부친다.대의원 임기는 내달 11일 총회일로부터 3년간이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신반포2차아파트조합 대의원들은 임기 제한이 없었다. 그러나 지난해 12월(재확인) 조합 총회를 통해 정관을 변경, 대의원 임기를 3년으로 하고 임기가 종료되면 총회의 의결을 거쳐 연임하도록 규정을 바꿨다. 신반포2차 공문 [사진=신반포2차조합 조합원 제공 ] 갈등의 촉발제, '카톡방 대의원 후보 검증 릴레이'그런데 조합원 간 갈등은 선거운동 과정에서 불거졌다. 조합장을 비롯해 조합원 약 1300명이 모여있는 공식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에서 일부 조합원 중국이 ‘양어장 관리 지원 시설’이라고 주장하며 서해 잠정 조치 수역(PMZ)에 설치한 해저 고정 구조물을 지난 2월 26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소속 해양 조사선 온누리호가 현장 조사 중 촬영한 사진. 철제 다리 3개가 삼각 형태로 가로 100m, 세로 80m 규모의 선체를 지탱하고 있다. 중국이 서해에 무단 설치한 고정 구조물의 모습이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한국해양과학기술원·엄태영 국민의힘 의원 중국이 서해 잠정조치수역(PMZ)에 무단 설치한 해상 고정식 구조물이 중동 지역에서 사용되다 폐기된 석유 시추선(試錐船)이었던 것으로 20일 확인됐다. 중국이 폐시추선을 사들여 확대 개조한 뒤 ‘양어장 지원 시설’이라고 이름을 붙여 PMZ에 설치한 것으로 추정된다. 전문가들은 “어업 이외 시설물 설치·자원 개발 활동을 금지하는 PMZ에 ‘어업 시설’이라는 명분으로 해상 경계에 영향을 주는 사실상의 ‘미니 인공 섬’을 지은 것”이라고 했다. 그래픽=송윤혜 본지가 미국 위성 업체 스카이파이에 의뢰해 입수한 다수의 위성 사진을 분석한 결과, 중국의 고정식 구조물은 가로 100m, 세로 80m 크기로 추정됐다. 구조물에는 ‘H’라고 쓰인 헬리콥터 이착륙장과 3개의 철제 다리가 있었다. 구조물의 동남쪽 3km 거리에서는 중국이 지난해 5월 신식 양어장이라 주장하며 설치한 팔각형 철제 구조물인 ‘선란 2호’가 포착됐다. 중국이 2022년 10월 서해 잠정 조치 수역(PMZ) 서쪽 끝단에 설치한 고정 구조물을 최근 촬영한 위성 사진. 철제 다리 3개가 삼각 형태로 자리 잡고 있다. 오른편에는 ‘H’라고 새겨진 헬기 이착륙 패드가 보인다. 헬기 패드에서 반대편 철제 다리까지 길이는 100m 정도로 추정된다./미국 위성 업체 스카이파이(skyfi.com)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해양조사선 온누리호는 지난 2월 PMZ 현장 점검 당시 선란 1·2호와 고정 구조물을 촬영했다. 본지가 엄태영 국민의힘 의원을 통해 받은 사진을 보면, 고정 구조물 측면에는 ‘애틀랜틱 암스테르담(Atlantic Amsterdam)’이란 영문명이
[아이뉴스24 이효정 기자] 서울 강남권에서도 한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