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파이낸셜뉴스] 비거니즘(Veganism)은 어렵습니다. ‘왜 어렵냐’고 묻는다면 육식을 기본값으로 두고 있는 사회문화와 비건을 위한 인프라 부족부터 시작해 사회적 인식, 의지와 현실 간의 간극 등 여러 가지 답변을 내놓을 수 있겠죠. 채소만 먹고 산다면 영양 불균형에 시달릴 수 있다는 지적도 맞는 말입니다. 그리고 이 모든 어려움을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비거니즘을 완벽하게 실천하기가 어렵다’라는 문장이 될 것 같습니다. 실제로 동물권이나 환경권을 위해 채식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 중에는 ‘완벽한 비건’이 되어야 한다는 강박에 시달리다 포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비건 입문서인 ‘나의 비거니즘 만화’를 그린 보선 작가를 비롯해 많은 사람들이 “사회가 비건 친화적으로 되려면 완벽한 비건 1명이 있는 것보다 불완전한 비건 100명이 있는 게 가치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입을 모으는 이유기도 하죠. 최근 비거니즘 트렌드 역시 엄격함보다 실질적 적용과 유연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앞서 ‘아무 것도 안 하는 것보다 이거라도 하는 게 낫다’는 뜻으로 소고기를 먹지 않기로 결심했다는 기자의 이야기를 해드렸는데요. 완벽하지 않아도 비거니즘의 가치를 지향하며 자신의 여건과 상황에 맞게 실천하는 우리 주위의 ‘불완전한 비건인’ 3명의 이야기를 들어보았습니다. 비건이 어려운 당신에게 '비건 지향'의 삶을 소개합니다채식 지향 4년 차로 ‘어쨌든 오늘은 비건’을 독립출판한 작가 수련씨는 자신을 ‘ 비덩주의자’로 소개합니다. ‘비덩주의자’는 덩어리 고기를 먹지 않고 최대한 채식을 하는 사람을 뜻하는데요. 수련씨는 “고기 없는 음식을 찾기 힘들고 비건식당이나 비건옵션도 적다 보니 타인과 함께하는 외식이 가장 어려웠다. 내가 민폐가 되는 기분이 들어 불편해졌고, 그래서 덩어리 고기만 먹지 않는 '비덩' 주의의 삶을 선택했다”라고 그 이유를 설명합니다. 직장을 다니며 평소에는 채식을 하되, 고기도 가끔 먹는 플렉시테리언(Flexita 심수민 디웨일 HR컨설턴트. 유진아 기자 "회사 밖이 아니라 사람 안을 들여다보는 게 인사관리(HR) 직무의 시작이라고 생각합니다. 누가 어떤 문제를 겪고 있는지 어떤 방향으로 함께 나아가야 할지를 고민하는 일이죠."서울 역삼동 디웨일 본사에서 만난 심수민 HR컨설턴트는 "성과와 제도를 다루는 일이지만 결국 사람을 위한 설계"라며 이같이 말했다. 심 컨설턴트는 대학 시절부터 '조직과 사람 사이의 관계'에 관심이 많았다. 학교 안의 소모임, 동아리, 대외 활동에서 구성원 간 협업이 잘 풀릴 때와 그렇지 않을 때의 차이를 관찰하면서 이 분야에서 더 깊이 탐구해 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그는 "잘 짜인 팀은 성과를 낼 수 있고 그 안에 있는 사람도 즐겁게 일할 수 있다는 걸 느꼈다"며 "그걸 가능하게 만드는 게 결국 HR 업무라는걸 알게 됐다"고 말했다.졸업 후 대기업에 입사해 인사 직무를 담당하면서 전통적인 대규모 인력을 다루는 조직의 인사 시스템과 정책 설계 과정을 경험했다. 그 과정에서 숫자를 다루는 일처럼 보였던 인사 직무가 사람과 조직의 '의미'를 설계하는 일이라는 것을 실감했다. 그러나 어느 순간부터는 본인이 원하는 방향성과 조직의 속도가 어긋나기 시작했다. 심 컨설턴트는 "더 작고 빠른 조직에서 직접 부딪히고 결정하는 경험을 해보고 싶었다"며 "한 사람 한 사람의 변화가 조직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곳이 스타트업이라는 사실을 깨달으면서 이직을 준비했다"고 말했다. 현재 그는 성과관리 솔루션 스타트업 디웨일에서 전략 기획, 마케팅, B2B 프로젝트 기획 및 실행까지 HR 관련 업무 전반을 담당하고 있다. 고객사의 인사 문제를 진단하고 적합한 제도를 설계하거나 조직문화 워크숍을 진행하는 일도 심 컨설턴트의 몫이다. 특히 '회사를 위해 사람을 설계하는' 방식보다 '사람의 목소리로 회사를 설계하는' 관점을 중시한다. 그는 "예전에는 직원 인터뷰를 해도 '그냥 들었다'는 수준에 머무는 경우가 많았다"면서 "하지만 정말로 직원의 경험을 중심에 둔 조직은 구성원의 목소리를 통해 정책을 만들고 운영하는 것을 경험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HR의 경계를 확장하는 다양한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 단순히 인사 제도를 설계하는 데 그치지 않고 고객사의 조직문화를 바꾸기 위한 콘텐츠 기획, 교육 설계, 브랜딩 전략까지 아우른
/사진=게티이미지뱅크